티스토리 뷰
통가 화산 폭발 기후 변화, 온도 상승, 냉각 효과를 알아보세요
@성훈 2024. 12. 5. 14:04
2022년 1월 15일, 뉴질랜드 북쪽 해저에 위치한 통가 화산이 대규모 폭발을 일으켰습니다. 이 사건은 기후 변화 및 온실가스 문제와 관련하여 중요한 논의의 시작점이 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통가 화산 폭발의 개요와 그로 인한 기후적 영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화산 폭발 개요
통가 화산 폭발은 2022년 1월 15일에 발생했으며, 이 폭발로 성층권에 약 1억 5천만 톤의 수증기가 유입되었습니다. 폭발 고도는 20km에서 80km에 이르며, 이는 지구 대기 중에서 상당히 높은 위치입니다. 이러한 높은 고도에서의 폭발은 화산의 위력을 잘 보여줍니다. 통가 화산 폭발은 기후 변화의 심각성을 다시 한번 일깨우는 계기가 되었으며, 특히 성층권의 변화가 기후에 미치는 영향을 주목하게 만들었습니다.

기후 변화와의 관계
통가 화산 폭발은 기후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성층권에 고농도의 수증기가 유입되면 지구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며, 이는 2010년에 발표된 연구 논문에서도 확인되었습니다. 또한, 2024년 기온 상승은 통가 화산 폭발과 엘니뇨 현상이 겹친 결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통가 화산 폭발은 단순한 자연재해에 그치지 않고, 기후 변화의 복잡한 양상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화산 폭발의 물리/화학적 영향
통가 화산의 폭발은 프리니식 화산폭발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이 과정에서 대량의 이산화황(SO2)과 수증기가 방출되었습니다. 이산화황은 화학 반응을 통해 황산 에어로졸로 변환되어 지구의 반사율을 증가시키고, 태양빛이 지표에 도달하는 양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에어로졸이 구름 형성을 촉진하여 구름의 반사율을 높이는 'Twomey 효과'도 나타납니다. 이러한 현상들은 통가 화산 폭발이 지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깊이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통가 화산 폭발의 기후 영향
2022년 1월 15일의 통가 화산 폭발로 인해 약 146Mt의 수증기와 0.42Mt의 이산화황이 중간 성층권으로 유입되었습니다. 위성 관측 결과, 성층권의 증가한 수증기로 인한 온실가스의 증대는 최대 0.3 W/m²로 나타났으나, 에어로졸에 의한 냉각 효과는 최대 -1.5 W/m²로 측정되었습니다. 이러한 냉각 효과는 폭발 이후 2년간 지구 전체에 약 0.17 ±0.07 W/m²의 영향을 미쳤습니다. 통가 화산 폭발이 기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화산 활동이 지구 기후 시스템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통가 화산 폭발은 지구 기후에 미세한 냉각 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이는 화산 폭발이 지구 표면의 일시적 냉각 효과를 유발하는 경향성과 일치합니다. 그러나 박석순의 주장처럼 통가 화산 폭발이 2024년 기온 상승의 주된 원인이라고 보기에는 여러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기후 변화의 복잡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통가 화산 폭발과 같은 사건들이 어떤 맥락에서 발생하는지를 면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