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가구 2주택 취득세율, 계산 방법과 감면 혜택 알아보세요
@성훈 2025. 3. 6. 12:16
부동산을 매입할 때 가장 신경 쓰이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취득세입니다. 특히 '1가구 2주택 취득세율'은 주택의 소재지와 가격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정보를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1가구 2주택 취득세율의 기준, 계산 방법, 감면 혜택, 그리고 유의사항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가구 2주택 취득세율
1가구 2주택 취득세율은 주택의 위치와 주택 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2023년 5월 20일에 개정된 소득세법에 따르면, 조정대상지역과 비조정대상지역의 취득세율이 완화되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조정대상지역: 취득세율이 12%에서 8%로 하락
- 비조정대상지역: 취득세율이 4%에서 3%로 하락
일시적인 1가구 2주택의 경우에는 기존과 같이 1%에서 3%의 취득세율이 적용됩니다. 이는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마련된 정책이므로, 이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가구 2주택 취득세율 (기준)
1가구 2주택은 한 세대가 1주택을 소유한 상태에서 추가로 1주택을 취득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배우자와 별거 중인 경우도 1가구 2주택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다음은 해당 기준입니다:

- 주택을 상속 또는 증여 받은 경우
- 주택을 분할한 경우
- 주택을 공유하는 경우
- 주택을 매각하기 위해 취득한 경우
일시적 1가구 2주택
- 조정대상지역: 종전 주택을 취득한 날부터 1년 이내에 기존 주택 처분
- 비조정대상지역: 3년 이내에 기존 주택 처분
- 신규 주택에 전입은 불가합니다.
1가구 2주택 취득세율 (계산)
취득세율은 주택 시장의 변화에 따라 조정됩니다. 취득세 계산은 주택의 시가표준액에 취득세율을 곱하여 계산합니다. 시가표준액은 국세청에서 매년 공시하는 가격으로, 실제 거래가격보다 낮게 책정됩니다.
- 취득세율: 주택가액이 6억원 이하인 경우 1%, 6억원에서 9억원 사이일 경우 1%에서 3% 적용
- 조정대상지역: 2주택 취득세율 8%
- 비조정대상지역: 1%에서 3%
취득세 계산기
위택스 홈페이지의 자동계산기를 활용하여 취득세를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위택스 취득세 계산기 바로가기

취득세 감면 혜택 및 적용 조건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취득세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조건이 적용됩니다:

- 다자녀가구
- 신혼부부
- 공공임대주택 구입자
소득수준, 가구 구성원의 수, 특정 지역 거주에 따라 기준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1가구 2주택 취득 시 유의사항
1가구가 2주택을 보유할 경우, 추가 주택에 대해 높은 취득세율이 적용됩니다. 따라서 추가 매입 시 세금 관련 비용을 사전에 검토해야 합니다. 취득세 외에도 종합부동산세나 재산세도 높은 세율이 적용됩니다.

특히 장기적으로 2주택 이상 보유하는 경우, 정부의 세금 감면 정책 혜택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절세 방법을 미리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동산 거래 시 취득세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입니다. 계산과 준비를 통해 불필요한 비용을 줄이시기 바랍니다.

항목 |
세율 |
1가구 1주택 (서울) |
1~3% |
1가구 2주택 (서울) |
8~12% |
1가구 2주택 (경기도) |
7~11% |
1가구 2주택 (지방) |
5~9% |
보유세 |
공시지가에 비례, 1가구 1주택보다 높음 |
양도소득세 |
6% ~ 45% |
2024년부터 적용되는 1가구 2주택의 취득세율은 지역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며, 정부의 정책 변화에 따라 다양한 지원과 감면 혜택이 주어질 수 있습니다. 1가구 2주택 구매를 고려하고 있다면, 세금 부담을 미리 계산하고 각 지역의 세율을 충분히 검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동산 거래를 계획하면서 현명한 선택을 하시기 바랍니다.
